본문 바로가기

徒步 ·旅行 ·日常

(209)
2019년 12월 4일 영천 만불사 몇 번째인지는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힘들때면 만불사를 자주 칮은 것 같다. 입구에 들어서니 산바람에 풍경소리가 요란하다. 매서운 바람에 풍경소리가 숨가쁘다. 수미산 향수해를 상징하는 물결과 살을 에이는 찬바람 때문에 어린 부처님이 추워 보인다. 종을 세번 치면 업장이 소멸하고 소원성취한다고 한다. 시주를 하고 세 번 종을 치며 소원을 빌었다. 이제 그만 아프기를, 이제 단지 편안해지기를. 만불사는 찾을 때마다 절의 구조가 여기저기 바뀌어 있다. 예전에 언젠가 대불을 보며 합장을 하다가 울컥하며 눈물을 흘린 적이 있었다. 왜 난 이렇게 외로운걸까? 이제 그만 외롭고 편안해지기를 기원하면서 간절했던 그런 순간도 덧없이 지나고 지금도 여전히 가슴이 아리도록 외롭지만 오늘은 무덤덤하게 합장을 한다. 나무아미타불..
2019년 12월 3일 울산 주전몽돌해변 정자 경주 양남면 구룡포 호미곶 동해면 양남면 수렴리의 바다 모습. 가슴 아프고 먹먹한 추억이 있는 곳이다. 다 부질없는 인간사지만 그곳에선 진실을 알고 있으리라 믿으며... 포말의 파도는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건만 인간만사 재행무상이라...
2019년 11월 19일 화원 사문진나루터 생태탐방로 생태학습관 일몰 화원초등학교건너 버스정류장에서 650번 승차, 화원유원지입구 정류장에서 하차. 인적 없는 사문진나루터에 강바람이 차갑다. 80년대 초반 사문진교가 없을 때 다산으로 가려면 고령으로 둘러둘러 가거나 배를 이용하는 방법뿐이었다. 다산쪽에 전기공사가 있으면 차도 배에 싣고 건넜다. 전주나 자재를 많이 실어서 무게가 나가는 차는 배에 싣지도 못했다. 자재를 실은 차는 고령으로 둘러 가야 했는데 거의 반나절이 걸리는 거리였다. 지금이야 3분이면 건너는 다리가 생겨서 하루에도 여러 수백번을 오갈 수 있지만 그렇게 다산으로 넘어가면 그곳에서 숙소를 잡고 며칠을 숙식까지 해야 했으니 참 격세지감이다. 이렇게 추운 날에도 유람선이 운항을 한다. 사문진나루터에서 시작된 생태탐방로는 이 생태학습관까지 이어져 있다. 나름 아..
2019년 11월 18일 다사읍 대실역 달성습지 생태 탐방로 구라리 둑길 진천천 대곡역 오후 4시 20분 2호선 대실역 하차 흐리고 바람이 차다. 강창교 서남쪽에 대나무 숲이 금호강의 겨울바람에 마구 흔들리고 있었다. 수크렁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담아보았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공사가 한창이다. 어두워졌다. 달성습지 생태관 가는 길 갈림길에서 조그만 구름다리를 건너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진천천 서쪽 구라리 둑길을 걸어 6시 30분 대곡역 도착.
2019년 11월16일 화원 사문진나루터 일몰 화원역 하차 화원초등학교건너 버스정류장에서 달서3번을 타고 화원유원지(사문진주막촌) 정류장 하차. 포근한 날씨에 사람들이 엄청 많다.
2019년 11월15일 강창 일몰 사무실에서 653번을 타고 섬유회관건너1 정류장에서 급행5번으로 환승 모다아울렛을 구경하고 나와서 화원쪽으로 걷기 시작.
2019년 10월 24일 검단동주민센터2정류장 금호강변길 아양철교길 압로정 조선시대 대구의 기라성 같은 선비들이 찾아와 시와 학문을 즐기던 정자이다. 선비들이 뱃길을 왕래하며 풍류를 즐기던 강안문화(江岸文化)의 요람이었다. 압로정은 조선시대 ‘영남 제1의 정자’로 평가받을 정도로 풍광이 수려해 경상도관찰사가 부임하면 이곳에 들른 기록이 있으며 노계 박인로의 가사작품을 비롯해 이곳의 풍경을 읊은 시만 해도 수백편이 전해오고 있다. 고 한다 [ https://story.kakao.com/_i1gTy6/GF3KPkOfl60 카카오스토리 인용 ]
2019년 10월 19일 경남 통영 미륵산 케이블카 한려수도 한산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