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山行 ·趣味

(53)
2021년 4월 6일 비슬산 참꽃군락지 가창2번 정대 종점-천왕봉-참꽃군락지-대견사-휴양림공영주차장- 쌍계2리 산성지하차도 입구 '쌍계리버스정류장'(현풍택시)-'대곡역(한라하우젠트건너)버스정류장' 월광봉을 지나 조화봉 경계에서 참꽃군락지로 내려섰다. 조금 이른 비슬산 참꽃 산행이었다. 이번에도 일몰을 보고 내려올 엄두를 내지 못해 대견사를 둘러보고 버스를 이용해서 휴양림 공용주차장까지 내려왔다. 택시를 불러 쌍계리의 급행8번 버스정류장 가까운 곳에서 내렸다.
2021년 3월 31일 와룡산 새방골 자락길 진달래 군락지 와룡산엔 연산홍군락지와 진달래군락지와 벚꽃군락지가 있다. 진달래군락지와 벚꽃군락지를 둘러보았다. 계성고등학교 오른쪽 도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오르기 시작해서 중턱에서 자락길로 진달래군락지 가는 코스를 걸었다.
2021년 3월 3일 팔공산 관봉
2020년 10월 25일 앞산 용계교 사방산 산성산 용두산 어제도 그랬고 오늘도 오전 내내 산행 나설 마음이 나주지 않아 망설이다가 오후 1시 30분이 되어서 쫓기듯 집을 나섰다. 시간이 어중간하여 멀리 갈수는 없어서 신천 둔치로 내려가서 가창2번을 탔다. 용계교 쪽에서 데크를 오른 직후에도 흥이 나지 않아 그래도 나섰으니 사방산 분기점까지만 갔다가 내려설까 갈등하였다. 2019년 보았던 꽃들이 그자리에 그대로 있어 반가웠다. 미역취도 그자리에 있었다. 어쩐일인지 나서기 싫은 산행이서였을까? 컨디션도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무탈하게 하산한 것에 감사하다.
2020년 10월 18일 팔공1번 종점 수태골 서봉 마애약사여래좌상 팔공1번 종점 팔공1번 종점 하차 - 수태골 입구[23분] - 수릉표석[45분] -암릉바위[1시간 10분] - 수태골폭포 - 서봉분기점[1시간 50분] - 오도재기점[2시간 20분] - 서봉[2시간 37분] - 오도재기점 - 마애약사여래좌상[3시간 10분] - 수태골 입구[4시간 40분] - 팔공1번 종점 정류장[5시간 6분] 오르는 길에 무리를 지어 마구잡이로 하산하는 사람들 탓에 몇 번이고 길을 비키느라 페이스를 흐트렸다. 인사말을 하는 사람은 단 한 명이었다. 산예절이 많이 그리워졌다. 거의 1년만의 산행이라 그런지 내려오는 길에 조금 힘들었다.
2020년 10월 10일 팔공산 동화사 입구 염불암 동봉 케이블카 12시 14분 동화사 입구 버스정류장 하차.
2020년 10월 3일 팔공산 선본사 - 갓바위 - 관암사 - 401번 주차장 추석 연휴가 길어서인지 날이 좋아서인지는 모르겠으나 갓바위를 오르는 사람이 엄청 많았다. 버스가 선본사 주차장으로 가는 길의 식당들마다 사람들로 붐볐고, 갓바위 공영주차장도 차들로 꽉 차 있었다. 지난 해 10월 중순 이후 약 1년만에 갓바위에 올랐다.
2019년 12월 8일 앞산 자락길 3,4,5구간 410번을 타고 남구종합스포츠타운건너정류장에서 하차 고산골 심신수련장 입구에서 우측으로 자락길 3구간이 시작된다. 구간은 고산골관리사무소로 가는 맨발산책길 입구에서 케이블카 승강장까지이다. 안지랑골 도착. 대덕식당 건너 고령촌돼지찌개 옆 길이다. 지난 여름은 이 코스로 안일사 앞을 지나 비파산 앞산전망대까지 오르곤 했었다. 앞산순환로 서쪽으로 조금 내려와 별자리 이야기 터널 입구에서 오늘의 산행을 종료. 대덕식당에서 저녁으로 선지 한그릇을 먹었다.